본문 바로가기

다발성골수종16

다발성 골수종 환자 운동은 도움이 될까? 과학적 근거 “골수종 환자가 운동을 해도 괜찮을까요?” 많은 분들이 묻는 질문입니다.정답은 분명합니다. 네, 운동은 도움이 됩니다. 단, '내 몸 상태에 맞게', '안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왜 운동이 필요한가요?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운동은 단순한 체력 회복을 넘어, 치료 효과와 삶의 질을 높여주는 중요한 관리 수단입니다.과학적으로 입증된 운동의 효과:항암치료 중 피로(Fatigue) 감소우울감과 불안 조절면역 기능 개선근육 손실 방지 → 낙상 위험 감소수면 질 향상특히 골수종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과 뼈 통증으로 인해 **움직이지 않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기 쉬운데, 가벼운 운동이 그 순환을 끊어주는 첫걸음이 됩니다.2. 어떤 운동이 좋을까요?중요한 것은 강도보다 지속성입니다. 아래는 골수종 환자에게.. 2025. 4. 10.
다발성 골수종 식이요법과 면역력 관리 팁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식사는 단순한 영양 섭취를 넘어 치료 회복력과 면역력 유지에 직결됩니다.특히 항암치료, 스테로이드, 골다공증 약물 등을 복용하는 과정에서 소화기계 변화, 입맛 저하, 체력 감소 등이 동반되기 때문에 잘 먹는 것이 가장 큰 치료 보조제가 될 수 있습니다.1. 면역력 높이는 식사 전략양질의 단백질: 근육 유지 및 조직 재생에 중요 예: 생선, 두부, 달걀, 닭가슴살, 콩류항산화 식품: 면역세포 손상 방지 예: 블루베리, 브로콜리, 마늘, 고구마비타민 A, C, E 섭취: 감염 예방에 도움 예: 당근, 시금치, 귤, 아몬드, 파프리카프로바이오틱스: 장 건강과 면역력에 영향 예: 요거트, 김치(살균 안 된 것), 된장수분 섭취: 하루 1.5~2L 권장 (소변 색이 진하면 부족)균형 있는 .. 2025. 4. 9.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일상 관리법 다발성 골수종은 단기간에 끝나는 병이 아닙니다. 치료가 길게 이어지고, 완치보다는 ‘잘 관리하면서 사는 것’이 목표가 되기 때문에 일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치료 중이거나 치료 후 안정기에 있는 환자들이 생활 속에서 신경 써야 할 관리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1. 감염 예방이 최우선다발성 골수종 환자는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어 감기나 독감도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마스크 착용: 특히 병원 방문 시 또는 겨울철손 씻기 철저: 외출 후, 식사 전 반드시백신 접종: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예방접종 권장사람 많은 장소 피하기: 감염 위험 높은 시기에는 외출 자제몸에 미열이나 기침, 설사 등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 피로 관리와 충분한 휴식항암.. 2025. 4. 8.
다발성 골수종 완치가 가능한가? - 현재의 한계와 가능성 다발성 골수종 진단을 받은 많은 환자와 가족들은 치료 계획을 듣기 전, 마음속으로 이런 질문을 가장 먼저 떠올립니다."완치가 가능한 병인가요?"이 질문에 대해, 지금까지의 의학은 솔직하면서도 신중한 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발성 골수종의 완치 가능성과 현재 치료의 한계,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1. 완치의 정의는?‘완치’는 의학적으로 더 이상 질병이 존재하지 않으며, 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백혈병이나 일부 고형암에서는 완치를 선언할 수 있지만, 다발성 골수종은 현재까지 ‘만성 질환’에 가까운 암으로 분류됩니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완전 관해(CR)를 이뤄도, 미세 잔존 질환(MRD)이 남아 있을 수 있음장기간 무병 상태(MRD 음.. 2025. 4. 7.
다발성골수종 치료 후 감시와 재발 예측 방법 다발성 골수종은 치료 이후에도 ‘끝난 병’이 아닙니다. 많은 환자들이 초기에 좋은 치료 반응을 보이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재발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따라서 치료가 끝난 뒤에도 정기적인 감시(Follow-up)와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꾸준히 관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1. 치료 반응 평가 기준치료가 끝난 후에는 ‘얼마나 암세포가 줄었는가’를 평가합니다. 다발성 골수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 기준을 사용합니다:CR (Complete Response): M 단백 음성 + 골수 형질세포 VGPR (Very Good Partial Response): M 단백 90% 이상 감소PR (Partial Response): M 단백 50% 이상 감소SD (Stable Disease): 반응 없거나 진행.. 2025. 4. 6.
골 관련 치료 (비스포스포네이트, 방사선치료 등)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약 70~80%는 진단 시 이미 뼈 병변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형질세포가 골수 안에서 증식하면서 골용해(뼈가 녹는 현상)를 유발하고, 이는 통증, 척추압박골절, 병적 골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대표적인 치료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방사선 치료입니다.1.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란?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s)는 뼈를 파괴하는 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대표 약제:Zoledronic acid (Zometa)Pamidronate (Aredia)주사로 투여하며 보통 4주 간격으로 시행됩니다.효과:골절 위험 감소뼈 통증 완화고칼슘혈증 예방주의사항:신장기능 저하 시 용량 조절 필요치과 치료 전 비스포스포네.. 2025. 4. 5.
다발성 골수종 스테로이드 치료의 효과와 부작용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 있어 스테로이드(Steroid)는 항암제 못지않게 강력하고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환자들이 복용 중 다양한 부작용을 경험하게 되며, 이 약물에 대해 두려움이나 혼란을 느끼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스테로이드의 치료 효과와 함께, 반드시 알아야 할 부작용과 관리법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1. 왜 스테로이드를 쓰는가?다발성 골수종에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스테로이드가 사용됩니다:Dexamethasone (덱사메타손)Prednisone (프레드니손)스테로이드는 단독 항암 효과도 있지만, 다른 항암제와 병합했을 때 상승 효과(synergy)를 만들어냅니다.대표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암세포의 세포자멸사 유도 (apoptosis)항체 치료제나 면역조절제의 효과 .. 2025. 4. 4.
항암치료제 종류별 비교 (Velcade, Revlimid 등) 다발성 골수종의 항암치료는 단일 약제가 아닌, 복합 요법(combination therapy)으로 이루어집니다. 그 중심에는 몇 가지 핵심 약제들이 있으며, 이 약제들의 조합이 치료 반응과 예후를 결정하게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항암제들을 중심으로 그 특성과 차이를 비교해보겠습니다.1. 벨케이드 (Bortezomib, 상품명: Velcade)분류: 프로테아좀 억제제 (Proteasome inhibitor)투여 방식: 피하주사 또는 정맥주사, 주 1~2회주요 효과: 암세포 내 단백질 대사 억제로 세포사멸 유도부작용: 말초신경병증, 피로, 설사, 백혈구 감소주요 용도: 초기 치료, 자가이식 전 요법, 재발 치료Velcade는 가장 오래 사용되어온 약제 중 하나로, 다른 약물과 병합하여 치료 효과.. 2025. 4. 3.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은 꼭 필요한가? 다발성 골수종의 치료를 처음 접한 환자와 가족에게 가장 생소하면서도 중요한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자가조혈모세포 이식(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 ASCT)’입니다.항암치료만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싶은 분들도 계시지만, 자가이식은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에서 생존 기간을 늘리는 핵심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1. 자가이식이란 무엇인가?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은 자신의 조혈모세포(혈액세포의 씨앗)를 미리 채취한 뒤, 고용량 항암치료로 몸속 암세포를 제거하고, 이후 채취해 두었던 자신의 세포를 다시 주입하는 방식입니다.단계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초기 치료 (Induction): 3~4 사이클 항암치료조혈모세포 채취: 말초혈액에서 채취고용량 항암제 투여 (Melphalan)이식: 자신.. 2025. 4. 2.
표적치료제와 면역치료제의 원리 다발성 골수종의 치료는 과거보다 훨씬 정밀하고 다양해졌습니다. 특히 최근 10년 사이에 등장한 표적치료제와 면역치료제는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치료 반응의 깊이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두 치료법의 작용 원리와 대표적인 약제들을 살펴보겠습니다.1. 표적치료제 (Targeted Therapy)표적치료제는 말 그대로 암세포만을 겨냥해 작용하는 약물입니다. 정상세포는 덜 건드리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도록 설계되어 부작용은 줄이면서도 효과는 극대화하는 전략입니다.▶ 프로테아좀 억제제 (Proteasome inhibitors)Bortezomib (Velcade)Carfilzomib (Kyprolis)Ixazomib (Ninlaro) – 경구용작용 원리: 암세포는 단백질을 빠르게 합성하면.. 2025. 4. 1.
다발성 골수종의 진행과 재발 과정 다발성 골수종은 일시적인 질병이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만성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암입니다. 즉, 치료 이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높고, 여러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경향이 있습니다.따라서 이 질환의 전형적인 진행 단계와 재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1. MGUS → SMM → 다발성 골수종대부분의 다발성 골수종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처음에는 무증상의 전단계 상태를 거쳐 점차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MGUS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혈액 속에 M 단백이 존재하지만 증상이 없음. 연 1% 미만의 비율로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행.SMM (Smoldering Multiple .. 2025. 3. 31.
병기 설정(Staging)과 생존율 예측 다발성 골수종은 '암'이라는 단어와는 달리, 겉으로 드러나는 덩어리가 없기 때문에 병의 정도를 가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그래서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병기를 나누고, 그에 따른 생존율과 치료 전략을 예측하게 됩니다.1. ISS (국제 병기 시스템, International Staging System)2005년에 발표된 ISS는 가장 기본이 되는 병기 시스템입니다. 혈액검사에서 나오는 두 가지 수치를 기반으로 병기를 나눕니다:β2-microglobulin (베타2-마이크로글로불린): 형질세포의 양과 신장 기능을 반영Albumin (알부민): 전신 염증 및 영양 상태 반영ISS 병기 기준:1기: β2-microglobulin 2기: 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중간 단계3기: β2-microglobulin .. 2025.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