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 있어 스테로이드(Steroid)는 항암제 못지않게 강력하고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환자들이 복용 중 다양한 부작용을 경험하게 되며, 이 약물에 대해 두려움이나 혼란을 느끼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테로이드의 치료 효과와 함께, 반드시 알아야 할 부작용과 관리법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왜 스테로이드를 쓰는가?
다발성 골수종에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스테로이드가 사용됩니다:
- Dexamethasone (덱사메타손)
- Prednisone (프레드니손)
스테로이드는 단독 항암 효과도 있지만, 다른 항암제와 병합했을 때 상승 효과(synergy)를 만들어냅니다.
대표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암세포의 세포자멸사 유도 (apoptosis)
- 항체 치료제나 면역조절제의 효과 증강
- 부종, 염증 반응 조절 → 증상 완화
이처럼 스테로이드는 치료의 촉진제 역할을 하며, 거의 모든 병합 요법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스테로이드의 흔한 부작용
문제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동안 몸과 마음의 변화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수면장애: 불면, 밤에 자주 깸
- 기분 변화: 우울, 흥분, 초조함, 집중력 저하
- 식욕 증가와 체중 증가
- 혈당 상승: 당뇨병 또는 당 조절 악화
- 부종 및 얼굴 붓기: ‘문페이스’ 현상
- 근육 약화, 골다공증 위험 증가
- 감염 위험 증가: 면역 억제 효과
이러한 부작용은 용량과 복용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약물 조절이 중요합니다.
3. 복용 팁과 주의사항
- 아침 복용 권장: 생체리듬을 고려해 아침 일찍 복용
- 공복 피하기: 위장 자극을 줄이기 위해 식후 복용
- 혈당 모니터링: 당뇨병 병력이 있다면 자주 측정
- 감정 기복 이해: 가족과 함께 변화를 공유하기
- 칼슘과 비타민 D 보충: 골다공증 예방
갑작스러운 중단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감량 또는 중단해야 합니다.
논문 인용
"Corticosteroids such as dexamethasone are integral components of multiple myeloma therapy due to their cytotoxic effects on myeloma cells and ability to enhance the efficacy of combination regimens." — Rajkumar SV. Multiple myeloma: update on diagnosis, risk-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Am J Hematol. 2020;95(5):548–567. doi:10.1002/ajh.25791
"Steroid-related adverse effects, particularly mood alterations, metabolic disturbances, and immunosuppression, require careful monitoring and supportive care." — Miceli TS et al. Corticosteroid use in multiple myeloma: balancing efficacy and toxicity. Clin Lymphoma Myeloma Leuk. 2018;18(9):580–586. doi:10.1016/j.clml.2018.05.015
마무리하며
스테로이드는 다발성 골수종 치료에 있어 조용하지만 강력한 동반자입니다. 그 효과는 분명하지만, 그만큼 몸의 반응도 뚜렷하기 때문에 효과와 부작용 사이의 균형이 가장 중요합니다.
약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치료 중 생기는 불안감을 줄이고, 보다 안정적인 치료 여정을 이어갈 수 있게 합니다.
'다발성골수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발성골수종 치료 후 감시와 재발 예측 방법 (0) | 2025.04.06 |
---|---|
골 관련 치료 (비스포스포네이트, 방사선치료 등) (0) | 2025.04.05 |
항암치료제 종류별 비교 (Velcade, Revlimid 등) (0) | 2025.04.03 |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은 꼭 필요한가? (0) | 2025.04.02 |
표적치료제와 면역치료제의 원리 (0) | 2025.04.01 |